비가 내리는 걸 좋아하는 편인데요, 장마철이 되면 생각이 좀 달라집니다. 연속된 비로 습기가 차고, 빨래도 잘 마르지 않으니 생활이 꽤나 불편해지죠. 하지만 장마를 잘 이해하고 대비하면 한결 편하게 보낼 수 있습니다. 특히 서울과 제주도는 장마 패턴이 다르기 때문에, 지역별로 대비 방법도 달라야 합니다..
2024년 장마 데이터를 살펴보면, 2025년 장마를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습니다. 중부와 남부, 제주 지역의 강수량과 장마 기간을 비교하고, 서울과 제주도의 2025년 장마 시작과 종료 시점을 예상해 보겠습니다.
✅ 2025년 폭염 시작과 끝은 언제일까요?
✅ 2025년 열대야 언제 시작되고 언제 끝날까요?
✅ 장마철, 비 오는 날 인사말 문구 모음입니다
장마란?
장마는 여름철 북태평양 고기압과 오호츠크해 기단이 만나 형성되는 정체전선(장마전선)으로 인해 발생하는 긴 기간의 강우 현상입니다.
- 보통 6월 중하순부터 7월 말까지 지속됨
- 제주도는 중부 지역보다 약 1~2주 정도 먼저 시작
- 강수량이 많아 홍수, 산사태, 침수 등의 피해 발생 가능
- 국지성 호우가 많아 순간적인 폭우 위험 증가
장마를 대비하려면, 각 지역의 장마 기간과 강수량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024년 전국 장마 기간과 일수, 강수량
2024년 장마는 지역별로 다른 패턴을 보였습니다. 제주도는 6월 19일에 가장 먼저 시작되었으며, 남부는 6월 22일, 중부는 6월 29일에 시작됐습니다. 종료일은 모두 7월 27일로 동일했습니다.
지역 시작일 | 장마시작 | 장마종료일 | 장마일수 | 강수량 | 강수일수 |
중부지방(서울) | 6월 29일 | 7월 27일 | 29일 | 506.3mm | 21.1일 |
남부지방 | 6월 22일 | 7월 27일 | 36일 | 447.2mm | 21.6일 |
제주도 | 6월 19일 | 7월 27일 | 39일 | 561.9mm | 20.8일 |
2024년은 전국적으로 평균 472mm의 강수량을 기록했으며, 장마일 수는 21.4일이었습니다.
서울의 경우 장마 시작이 비교적 늦었으며(6월 29일), 강수량은 506.3mm로 남부보다 많았습니다. 반면 제주도는 가장 길게(39일) 장마가 지속되었으며, 강수량도 전국에서 가장 많았습니다(561.9mm).
지역 검색 후 2025년 월별 날씨를 일별로 확인하세요
2024년 서울 장마 시작과 종료일
서울은 올해 6월 29일 장마가 시작되었고, 7월 27일에 종료되었습니다.
- 평년(2014~2023년)과 비교하면 2~4일 늦게 시작
- 강수량은 평균보다 30% 이상 증가
- 강수일수는 21.1일로 평년과 비슷
2024년 장마에서 가장 눈에 띄는 특징은 국지성 호우 증가였습니다. 하루 80mm 이상의 폭우가 내린 날이 예년보다 많았으며, 특히 시간당 30mm 이상의 강수일이 2.1일로 집계되었습니다. 이는 예년(0.8일)의 2배가 넘는 수치입니다.
2024년 제주도 장마 시작과 종료일
제주도는 6월 19일에 장마가 시작되었고, 7월 27일에 종료되었습니다.
- 장마 기간: 39일(평년보다 6.6일 증가)
- 강수량: 561.9mm(전국에서 가장 많음)
- 강수일수: 20.8일(예년과 비슷)
- 국지성 폭우 증가: 80mm 이상 폭우일 4일, 시간당 30mm 이상 강수일 4.5일
올해 제주도 장마의 가장 큰 특징은 폭우 발생 빈도가 높았다는 점입니다. 시간당 강수량이 30mm 이상인 날이 4.5일로, 예년 평균(1.1일)보다 4배 이상 증가했습니다.
2025년 서울과 제주도 장마 시작과 종료일은 언제?
2024년 장마를 분석한 결과, 2025년 장마 기간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서울 장마 예측
- 시작일: 6월 27~30일 예상
- 종료일: 7월 25~28일 예상
- 강수량: 500~550mm 예상
- 강수일수: 20~22일 예상
올해(2024년)보다 조금 일찍 시작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강수량은 비슷할 것으로 예상되나, 기후변화 영향으로 국지성 폭우가 더 자주 발생할 가능성이 큽니다.
제주도 장마 예측
- 시작일: 6월 17~20일 예상
- 종료일: 7월 25~28일 예상
- 강수량: 550~600mm 예상
- 강수일수: 20~22일 예상
올해처럼 제주도는 가장 먼저 장마가 시작될 가능성이 높으며, 강수량도 전국에서 가장 많을 것입니다.
FAQ
Q1. 2025년 장마는 예년보다 더 길어질까요?
2024년 장마를 기준으로 보면, 2025년에도 유사한 패턴을 보일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기후변화로 인해 장마 기간이 길어지거나 강수량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Q2. 2025년에는 폭우가 많아질까요?
2024년 장마에서 국지성 폭우 발생 빈도가 높았던 점을 고려하면, 2025년에도 비슷하거나 더 심해질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제주도와 남부지방에서 집중호우 발생 빈도가 증가할 전망입니다.
Q3. 2025년 장마철 대비 방법은?
- 습기 제거 필수: 제습기, 환기, 습기제거제 사용
- 빨래 건조 대책: 건조기 활용, 실내 건조 시 공기 순환 필수
- 비 오는 날 외출 준비: 방수 가방, 방수 신발, 우비 준비
- 집중호우 대비: 배수구 점검, 차량 침수 예방 조치
2025년 장마 정리
- 서울은 6월 27~30일경 장마 시작, 제주도는 6월 17~20일경 예상
- 서울과 제주 모두 7월 25~28일경 종료 예상
- 강수량은 서울 500~550mm, 제주도 550~600mm 예상
- 2024년처럼 국지성 폭우 증가 가능성 큼
마무리
2025년 장마가 어떻게 전개될지는 조금 더 지켜봐야겠지만, 올해 장마 패턴을 보면 어느 정도 대비할 수 있습니다. 미리 준비해서 쾌적한 여름을 보내세요!